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징어 게임 (줄거리, 등장인물, 의미 분석)

by mynote3961 2025. 3. 23.
반응형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은 2021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한국 드라마로, 극한의 생존 게임을 다루며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리를 신랄하게 비판한 작품이다. 456명의 참가자들이 목숨을 걸고 상금 456억 원을 차지하기 위해 서바이벌 게임에 뛰어든다. 단순한 유년 시절 놀이가 잔혹한 데스 게임으로 변형되면서 인간의 욕망, 도덕성, 계급 문제 등이 심도 있게 그려진다. 이 글에서는 《오징어 게임》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 그리고 작품이 담고 있는 의미를 분석해본다.


1. 오징어 게임의 줄거리

기훈(이정재)은 빚더미에 앉아 힘겹게 살아가는 인물이다. 어느 날 의문의 남자(공유)에게 명함을 받고, 거액의 돈을 벌 수 있는 게임에 초대된다. 그곳에는 그와 비슷한 처지의 455명이 모여 있었고, 주최자는 6개의 어린이 놀이를 통해 최후의 1인을 가려낸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첫 번째 게임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서 패배한 참가자가 처참하게 살해되면서, 이 게임이 단순한 놀이가 아님을 깨닫는다.

참가자들은 도중에 투표를 통해 게임을 중단하지만, 현실의 삶이 더 가혹하다는 걸 깨닫고 다시 돌아온다. 이후 ‘달고나 뽑기’, ‘줄다리기’, ‘구슬치기’, ‘징검다리 건너기’ 등의 게임을 거치며 참가자들은 서로를 속이고 배신하며 살아남기 위해 처절한 사투를 벌인다. 결국 결승에 오른 사람은 성기훈과 조상우(박해수) 단 둘뿐이다. 마지막 게임인 ‘오징어 게임’ 에서 기훈은 가까스로 승리하지만, 그는 상금 456억 원을 손에 쥐고도 죄책감과 공허함에 시달린다.

결국 기훈은 게임의 실체를 알게 되고, 또 다른 게임이 진행 중임을 깨달으며 이를 막기 위해 나선다.


2. 주요 등장인물

① 성기훈 (이정재)

이혼 후 딸과 떨어져 사는 무직의 남성으로, 도박 중독과 빚에 시달린다. 게임에서 살아남지만 끝내 상금을 사용하지 못하고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인다.

② 조상우 (박해수)

기훈의 어릴 적 친구이자 서울대 출신 사업가였으나, 회삿돈을 유용하다가 몰락했다. 점점 이성을 잃고 비열한 선택을 하며 기훈과 대립한다.

③ 강새벽 (정호연)

탈북자로, 어린 동생을 위해 돈이 필요한 인물이다. 조용하고 냉철하며,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④ 오일남 (오영수)

1번 참가자로, 치매를 앓고 있는 듯 보였으나 사실은 게임의 창시자였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실험하기 위해 참가한 것이었다.

⑤ 장덕수 (허성태)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게임 내에서 폭력적이고 잔혹한 모습을 보인다.

⑥ 지영 (이유미)

가정폭력 속에서 자란 여성으로, 새벽과 유대감을 형성하지만 희생을 선택한다.

⑦ 황준호 (위하준)

형을 찾기 위해 게임장에 잠입한 경찰로, 중요한 단서를 발견하지만 정체가 탄로 나며 위기에 처한다.


3. 오징어 게임이 담고 있는 의미

①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

게임 참가자들은 모두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이다. 돈이 없어 인간성을 포기해야 하는 현실을 반영하며, 빈부격차와 계급 문제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② 인간의 본성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협력하지만, 점점 생존을 위해 배신하고 폭력을 행사한다. 극한 상황에서 인간의 본성이 드러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③ 도덕적 딜레마

많은 참가자들이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도덕적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기훈은 끝까지 인간성을 지키려 하지만, 대부분은 비극적 선택을 한다.

④ 아이러니한 놀이

어린 시절 순수하게 즐겼던 놀이가 목숨을 건 서바이벌 게임이 된다는 점은 잔혹한 사회의 단면을 드러낸다.


결론

*《오징어 게임》*은 단순한 서바이벌 게임을 넘어, 현대 사회의 불평등과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인간의 본모습을 조명하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작품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고, 시즌2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오징어 게임》 같은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이 계속 나오길 기대해본다.

반응형